자유게시판
휴대용선풍기근육걸작성일 25-02-05 03:59
<a href="https://mangogift.co.kr/new/shop/detail.php?code=2305794" target=_blank" rel="noopener noreferrer" title="휴대용선풍기" id="goodLink" class="seo-link">휴대용선풍기</a>지난해 국민 1인당 쌀 소비량이 또다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부문 소비량이 역대 최저치를 경신한 가운데 사업체부문 소비량은 4년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통계청이 23일 발표한 ‘2024년 양곡소비량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가구부문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55.8㎏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3년(56.4㎏)보다 1.1% 감소한 것으로 역대 최저치다.
1인당 하루 소비량은 152.9g으로 2023년(154.6g)과 견줘 1.7g 적었다. 국민 한사람당 하루에 밥 한공기(약 100g)를 조금 더 먹는 셈이다. 가구부문 조사는 쌀을 집에서 직접 조리해 소비한 양과 배달음식 등 외식을 통해 소비한 양을 모두 포함한다.
<a href="https://mangogift.co.kr/new/shop/detail.php?code=2305794" target=_blank" rel="noopener noreferrer" title="휴대용손선풍기" id="goodLink" class="seo-link">휴대용손선풍기</a>
국내에서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1983년 129.5㎏에서 1984년 130.1㎏으로 상승한 이후 지난해까지 40년간 단 한번도 반등하지 못한 채 하향 곡선을 그려왔다.
이같은 하락세에는 식생활 변화가 가장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최근 발표한 ‘농업전망 2025’에서 “2014∼2023년 쌀 소비량은 식생활 서구화와 대체식품 소비 증가로 연평균 1.6% 감소했다”고 분석했다. 실제 서구화 식단의 대표적인 품목인 쇠고기·돼지고기·닭고기 등 3대 육류의 지난해 소비량은 60.1㎏으로 쌀 소비량보다 많았다.
<a href="https://mangogift.co.kr/new/shop/detail.php?code=2304482" target=_blank" rel="noopener noreferrer" title="소형미니손선풍기" id="goodLink" class="seo-link">소형미니손선풍기</a>이형용 농경연 곡물관측팀장은 “젊은층을 중심으로 육류와 샐러드 등 쌀을 대체하는 식품을 소비하는 경향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며 “특히 1인가구 증가의 영향으로 기존 쌀을 대량으로 구매하던 소비 성향이 필요할 때마다 소량 구매하는 형태로 변화하면서 가구 소비량이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Total 7,396